본문 바로가기

모든 글 보기963

제 10 장. 노테이션 확장하기 제 10 장. 노테이션 확장하기 이 장에서는 Notation Extension이 무엇이며 사용되는 기본 개념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고, Notation Extension을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의 기본 구문에 대한 명세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리고 예제를 통해서 새로운 종류의 다이어그램을 Notation Extension을 이용하여 어떻게 추가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왜 노테이션 확장이 필요한가? Notation Extension은 UML 모델에 대한 표기법을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법을 위한 확장 개념이다. StarUML은 이러한 Notation Extension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러면 UML이 있는데 이러한 Notation Extension 개념이 왜 필.. 2009. 7. 23.
제 9 장. Add-In COM Object 사용하기 제 9 장. Add-In COM Object 사용하기 Add-In COM Object의 기본 개념 StarUML™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 때 이전 'Chapter 3. Hello world Example'에서 보았듯이 간단한 Script 코드를 정의할 수도 있지만, 좀 더 복잡하거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COM 개체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환경을 사용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StarUML™ Add-In COM Object를 구현할 때 Visual C++, Delphi, C#, Visual Basic 등과 같이 COM 기술을 지원하는 어떤 프로그램 환경을 선택하던지 상관이 없다. StarUML™ Add-In COM Object를 구현할 때 지켜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StarUML™이.. 2009. 7. 23.
제 8 장. 메뉴 확장하기 제 8 장. 메뉴 확장하기 메뉴 확장의 기본 개념 사용자가 정의한 Add-In의 기능을 호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StarUML™ 메뉴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각 Add-In 개발자는 메뉴 확장 파일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절차는 크게 다음과 같다. 메뉴 확장 파일 작성 메뉴 확장 파일 등록 Add-In 메뉴 확장 파일(*.mnu)은 XML 형식의 텍스트 파일로, StarUML™에 플러그인(plug-in)되는 각 Add-In은 반드시 하나의 메뉴 확장 파일을 제공해야 한다. StarUML™은 이 메뉴 파일이 정의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메뉴(main menu)와 팝업 메뉴(popup menu)를 확장하여 새로운 메뉴 항목들을 추가하고, 각 메뉴 항목이 클릭되.. 2009. 7. 23.
제 7 장. UML 프로파일 사용하기 제 7 장. UML 프로파일 사용하기 UML 프로파일의 기본 개념 UML 확장 메커니즘 UML은 범용적인 소프트웨어 모델링 언어이며,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모델링 요구사항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잘 정의된 풍부한 모델링 개념들과 표기법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소프트웨어 모델링/개발 환경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UML 표준에는 없는 추가적인 요소 또는 의미들에 대한 요구가 생길 수 있다. UML은 이러한 요구들을 지원할 수 있는 개념까지 표준 안에서 제공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UML 확장 메커니즘(Extension Mechanism)이다. UML의 확장 메커니즘은 스테레오타입(Stereotypes), 제약사항(Constraints), 태그정의(Tag Definitions), 태그값(Tagge .. 2009. 7. 23.
제 6 장.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제 6 장. 프레임워크 사용하기 모델 프레임워크의 기본 개념 모델 프레임워크(Model Framework)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나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 등을 StarUML™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JFC(Java Foundation Classes), MFC(Microsoft Foundatation Classes), 델파이 VCL(Visual Component Library) 등이 모델 프레임워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장에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필요한 모델 프레임워크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점은 공통적이고 기반이 되는 모델링 요소 및 구조의 공유와 재사.. 2009. 7. 23.
제 5 장. 접근법 사용하기 제 5 장. 접근법 사용하기 접근법의 기본 개념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은 수도 없이 많으며, 각 회사나 조직마다 독자적인 방법론을 가지고 있거나 이미 존재하는 것을 자신의 개발조직이나 프로젝트에 맞게 조금씩 변형해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개발할 소프트웨어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영역(Application Domain)과 사용될 프로그래밍 언어, 플랫폼도 모두 다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모델링 할 때 초기에 설정해 주어야 할 사항이 많다. 접근법(Approach)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나 플랫폼 등의 특성에 따라 프로젝트의 초기 환경을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들은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적절한 접근법을 지정함으로써 자신이 의도하는 프로젝트의 폼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접근.. 2009. 7. 23.
제 4 장. Open API 사용하기 제 4 장. Open API 사용하기 StarUML™은 UML메타모델과 애플리케이션 객체 등 프로그램의 대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COM 객체화하고 API를 외부로 노출시켰다. 이 장에서는 StarUML™의 외부 API를 사용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프로젝트 다루기 이 섹션에서는 StarUML™에서 프로젝트, 유닛 그리고 모델 조각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프로젝트 관리 기본 개념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젝트에 관련된 개념(프로젝트, 유닛, 모델 조각)들을 잘 이해해야 한다. 프로젝트 프로젝트는 StarUML™에서 다루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다. 프로젝트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델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항상 존재하는 최상위 패키지(Top-level Packa.. 2009. 7. 23.
제 3 장. HelloWord 예제 제 3 장. HelloWord 예제 이 장에서는 Hello, world 예제를 가지고 Add-In을 개발하는 방법과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Hello, world" 예제 Hello, world 예제는 어떤 기술들을 익히기 위해 가장 처음으로 사용되는 예제이자 가장 쉬운 예제이다. 이 예제를 통해서 Add-In에 대한 감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Hello, world 예제는 모든 Add-In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고 가장 기본적인 것만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하나의 메뉴 확장(Menu Extension) 하나의 스크립트(Script) Hello, world 예제는 메뉴 [Hello, world!]를 하나 추가하고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프로젝트의 명칭(title)이 "Hell.. 2009. 7. 23.
제 2 장. StarUML 아키텍쳐 제 2 장. StarUML 아키텍쳐 이 장에서는 StarUML™의 기본 아키텍처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랫폼 아키텍처와 Add-In의 구성 그리고 외부 API(External API)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해 주로 기술한다. 플랫폼 아키텍쳐 StarUML™은 단순히 정의된 기능들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기능들을 얼마든지 추가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델링 플랫폼이다. 다음 그림은 StarUML™의 아키텍처 구성을 보여준다. 하늘색은 플랫폼(Platform)을 의미하고 초록색은 확장 가능한 부분(Extensible part)을 의미한다. 확장 가능한 부분은 사용자 혹은 제3자에 의해 개발된 후 플랫폼에 추가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Approach : 접근법(Approach)은 .. 2009.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