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HTML은 구조적이지 않다.
HTML은 단지 Hyper Text Mark up 랭귀지...
가령... 나이도 3.0의 우리 효리누나의 '핑클' 을 검색하면
가수 핑클도 검색되지만
필요하지 않은 정보인 서핑클럽도 건져온다.
단순히 데이터의 저장 검색이 아닌 인공지능 컴퓨터...(데이터의 구조적 관리)를 사람들은 더욱 원하고 있다. 그래서 나온것이 XML이랜다~
HTML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주는 부분과 문서의 내용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에 대한 표현 부분이 혼재되어있어 자동화된 문서처리가 쉽지 않고, 정해진 태그들만을 사용할 수 있어서 문서의 내용이 가지고 있는 의미들은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음.
그래서 나온 XML은 이런게 가능하다.
-문서의 구조, 데이터들의 의미나 상관관계를 나타내주는 부분과 문서의 내용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에 대한 표현 부분을 분리시킴으로 하나의 문서를 수정하지 않고도 여러 스타일로 표현해주는 것이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자동화된 문서처리가 가능하다.
유식해지기...^^ [ xml => eXtensible Markup Language ]
XML의 장점
-문서의 내용과 스타일을 분리해서 기술하기 때문에 스타일만 바꿔주면 여러 스타일로 변환가능
- 소프트웨어의 호환성 증가... HTML의 경우 웹 브라우저의 독특한 형식때문에 화면에 출력되는 부분이 달라지지만 가장 표준적인 HTML로 작성하면 어떤 웹브라우저에도 잘 보인다. 즉, XML 역시 표준규약이므로 XML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이기만 하면 잘 출력된다.
- XML은 유니코드를 적용한 텍스트 형식이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어떤것으로 사용하든지, 운영체제를 어떤 것으로 사용하는지 등에 상관없이 자유롭다
<?xml version="1.0" encoding="EUC-KR"?>
↑띄어쓰기 금지 적어도 xml과 version은 표기되어야함 현재 1.0버젼... 한국어 지원하겟다... 이외에 standalone="yes"도 마지막에 삽입 가능(의존성 표시)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D 규칙 (0) | 2009.01.09 |
---|---|
Vaild XML 문서란 - DTD에 대한 필요성 (0) | 2009.01.09 |
XML의 네임스페이스 (0) | 2008.12.31 |
Well-Formed XML문서 만들기 (0) | 2008.12.31 |
xml 예제 (0) | 2008.12.31 |
댓글